티스토리 뷰
해당 글은 필자가 혼자서 공부하기 위한 글이니 참고하기기 바랍니다. 해당 글을 통해 어떠한 금전행위는 하지 않고 오로지 기록용입니다. 이 문제지에 관한 저작권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습니다.
[57~6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한국사 연구에서 임진왜란만큼 성과가 축적되어 있는 연구 주제는 많지 않다.
-> 임진왜란에 대해 많이 연구를 했다는 거구나. 왜 그렇게 했찌 ?
하지만 그 주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지나치게 편향적이었다.
-> 많기는 하지만 편향적이고 동일한 내용이 많다고 하네.
즉, 온 민족이 일치단결하여 ‘국난을 극복’한 대표적인 사례로만 제시되면서, 그 이면의 다양한 실상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 여기서 정리를 해주구나. 민족 정신 통일을 위해서 대표적 국난 극복 사례로 많이 연구하고 편향적으로 탐구했다는 거네. 그래서 해당 역사의 다양한 진짜 실제 상황은 다루지 않았다고 하네.
특히 의병의 봉기 원인은 새롭게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 아 그중에서 의병 봉기 원인에 대해 이야기 하네. 그게 단순한 국난 극복 사례가 아니라 진짜 그 과거 사실에 대한 탐구를 알려 주려나 보네.
종래에는 의병이 봉기한 이유를 주로 유교 이념에서 비롯된 ‘임금에 대한 충성’의 측면에서 해석해 왔다.
-> (종래 - 처음부터 끝까지) 편향적인 역사 자료에서는 그랬겟네 의병 이유를 다 민족주의를 위해 임금에 대한 충성 측명에서 해석해왔겠네. 왜냐하면 충성이 애국으로 이어지기 쉬우니깐 말이다.
ⓐ 실제로 의병들을 모으기 위해 의병장이 띄운 격문(檄文)의 내용을 보면 이러한 해석이 일면 타당하다.
-> 그리고 그 근거를 말하네. 그당시에 의병장이 격문 내용을 충성에 대한 내용으로 썻나보네 그러니 타당하다고 하지.
의병장은 거의가 전직 관료나 유생 등 유교 이념을 깊이 체득한 인물들이었다.
-> 그리고 그 의병장의 경우 유교이념이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으니. 타당하구나.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의병장이 의병을 일으킨 동기를 설명하는 데에는 적합할지 모르지만, 일반 백성들이 의병에 가담한 동기를 설명하는 데에는 충분치 못하다.
-> 그렇지 의병장의 경우는 와닿지만 그냥 일반 서민들은 별 생각이 없었을 거 같다. 전부다 임금에 대한 충정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미리 대비하지 못하고 느닷없이 임진왜란을 당했던 데다가, ⓑ 전쟁 중에 보였던 조정의 무책임한 행태로 인해 당시 조선왕조에 대한 민심은 상당히 부정적이었다.
-> 이유를 말해주네. 무책임한 조정에 대해 비판과 감정이 안좋았다는 근거였네 그리고 갑자기 터진 전쟁에서 조정을 생각하는 거 보다는 허겁지겁 살려고 하는 생각들이 더 많아겠다.
이러한 상황에서 백성들이 오로지 임금에 충성하기 위해서 의병에 가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 그렇지 어렵네 납득이 되네.
임금에게 충성해야 한다는 논리로 가득한 ㉠ 한자투성이 격문의 내용을 백성들이 얼마나 읽고 이해할 수 있었는지도 의문이다.
-> 그리고 하나더 이유가 있네 한자투성이 격문을 백성이 다 해석하고 공감하기는 쉽지 않았다는 거지.
따라서 의병의 주축을 이룬 백성들의 참여 동기는 다른 데서 찾아야 한다.
-> 그렇구나 그러면 의병의 가담한 이유가 머니 ? 그거는 이제 다른데서 찾아야 한다는 거구나.
----------------a-------------------
의병들은 서로가 혈연(血緣) 혹은 지연(地緣)에 의해 연결된 사이였다.
-> 그렇구나 그때는 다 친구 가족들이 너도 나도 의병에 가담햇다는 거네.
따라서 그들은 지켜야 할 공동의 대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래서 결속력도 높았다.
-> 아 이해가 되네 조정이 무너지고 다들 힘드니깐 내지역 내가족을 지키기 위해 의병에 가담했다는 거네 공감이 된다.
그 대상은 멀리 있는 임금이 아니라 가까이 있는 가족이었으며, 추상적인 이념이 아니라 그들이 살고 있던 마을이었다.
-> 그렇지 전문장에 대한 재설명이네. 유교적이념 추상적 이념이 아니라. 내가족 내마을을 지키기 위함이구나.
백성들이 관군에 들어가는 것을 기피하고 의병에 참여했던 까닭도, 조정의 명령에 따라 이리저리 이동해야 하는 관
군과는 달리 의병은 비교적 지역 방위에만 충실하였던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 그렇구나 내지역만 지키기에는 의병이 조정의 정식 군인 되는 거보다 좋다고 생각헀다는 거네.
일부 의병을 제외하고는 의병의 활동 범위가 고을 단위를 넘어서지 않았으며, 의병들 사이의 연합 작전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 그렇구나 자기들 지역만 지키고 의병들끼리 소통도 없었다는 거네. 이해가 된다.
-------------------------------------
의병장의 참여 동기도 단순히 ‘임금에 대한 충성’이라는 명분적인 측면에서만 찾을 수는 없다.
-> 의병장은 아까 보통 유교적 이념을 가지고 있어서 충성을 다짐했다고 헀는데 다른 이유도 있나보네 머지 ?
의병장들은 대체로 각 지역에서 사회ㆍ경제적 기반을 확고히 갖춘 인물들이었다.
-> 그렇구나 그 지역의 유지니깐 가지고 있는게 많지 그래서 전쟁나서 빼앗기면 나의 이익이 손해가 발생되는 거지 이해가 된다.
그러나 전쟁으로 그러한 기반을 송두리째 잃어버릴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 그렇지 전문장에서 생각했던 내용이고 부연설명이네.
이런 상황에서 ⓒ 의병장들이 지역적 기반을 계속 유지하려는 현실적인 이해관계가 유교적 명분론과 결합하면서 의병을 일으키는 동기로 작용하게 된 것이다.
-> 그렇지 의병장은 전문장에서 말한 현실적 이해관계 이해득실과 더불어서 서론에 말한 유교적 명분 충정과 결합해서 의병을 일으켰다는 거구나.
한편 관군의 잇단 패배로 의병의 힘을 빌리지 않을 수 없게 된 ⓓ 조정에서는 의병장에게 관직을 부여함으로써 의병의 적극적인 봉기를 유도하기도 했다.
-> 그리고 조정에서는 의병장에게 관직도 부여 했다고 하니 더 동기부여가 되었겠네.
기본적으로 관료가 되어야 양반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당시의 상황에서 관직 임명은 의병장들에게 큰 매력이 되었다.
-? 그렇지 그냥 양반이 아니라 관료가 되어야 지위유지가 되기 쉬웠다는 그 당시의 시대적 상황도 알 수 있다라는 거구나.
57. 위 글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은? [1점]
① 의병의 참여 동기 ② 의병장의 이념적 기반
③ 의병장과 조정의 관계 ④ 의병의 전투 활동 실태
⑤ 의병 활동의 공간적 범위
4번 (참여동기 그리고 의병장 의병에 참여한 이유가 나왔다 그과정에서 이유들을 설명하며 의병장 이념적 기반 조정관계 공간범위가 나왔다 그리고 4번은 없는 내용이다.)
58. ⓐ~ⓓ 중, <보기>의 역사 자료 ㄱ과 ㄴ을 그 근거로 제시하기에 적절한 것을 순서대로 배열한 것은?
<보 기>
ㄱ. 왜적이 대동강변에 나타나자 조정의 대신들은 피난을 떠나기 위해 먼저 평양성을 나섰다. 이에 성안의 아전과 백성
들이 난을 일으켜 칼을 빼어 들고 그 길을 막으면서 크게 꾸짖어 말하였다. “너희들은 평소에 나라의 녹봉만 훔쳐 먹
다가 이제 와서는 나랏일을 그르치고 백성들을 속임이 이와 같으냐?”
-> 조정에 대한 비판 의식을 가진 국민들의 정서가 나오네.
ㄴ. “진실로 기운을 내고 떨쳐 일어나, 우리 조상 임금님들께서 남기신 은덕을 저버리지 않는다면, 창고에 가득한 물건
과 벼슬자리를 나는 아끼지 않을 것이다. 살아서는 아름다운 칭송이 있을 것이고, 자손에게까지 은택이 흘러 전해질
것이니, 어찌 훌륭하지 않으랴!”
-> 의병장에게 관직 하사에 대한 내용으로 의병장이 의병에 적극 가담하려는 동기에 대한 내용이네.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3번
59. [A]의 내용에 근거하여 의병에 참여한 일반 백성의 심경을 추론한다고 할 때, 그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관군에 들어가느니 의병이 낫고말고.
② 조정의 명이 있으니 기꺼이 동참해야지.
③ 사랑하는 처자식은 내 손으로 지켜야지.
④ 내 고장에 왜놈들을 들여놓을 수야 있나.
⑤ 친구도 많고 친척도 있으니 싸울 힘이 나는군.
-> 백성의 심경이다. 조정을 안좋아하고 그냥 내지역 내사람 지키기 위함이라고 글에서 소개 했다 3번은 조정의 찬양이니 아니다.
2번
60. ㉠의 접미사 ‘-투성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것이 너무많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유사한 의미 기능을 하는 접미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는? [1점]
① 사냥-꾼 ② 동갑-내기 ③ 대장-장이
④ 벼슬-아치 ⑤ 잠-꾸러기
5번 가장 비슷하다
이 문제지에 관한 저작권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