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명가능지대는 물이 존재하고 지구와 비슷한 에너지를 받아야 한다.
질량이 크고 광도가 큰 항성의 경우 생명 가능 지대의 폭도 넓고 거리도 멀다
하지만 질량이 작고 광도가 작은 항성의 경우 생명 가능 지대 폭도 좁고 거리도 가깝다.
이말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광도 에너지의 영향을 받기 쉽고 멀수록 과옫에너지 영향을 덜 받아서 물이 있을 만한 환경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질량이 작고 광도가 작은 항성의 생명 가능지대 행성의 경우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같아져 한쪽 면만 광도 에너지의 영향을 받아서 생명이 살기 적합하지 않게 되고, 질량이 크고 광도가 큰 항성의 경우에 있는 행성은 공전주기도 매우 크고 해서 온도차이도 심하게 되고 무엇보다 항성이 존재하는 기간이 매우 짧다.
즉 지구 처럼 적정한 항성의 존재시기를 가지고 적정한 공전주기를 가지고 거리를 유지하는 행성이 생명 가능지대로 유력하다.
'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복습]특이 은하 (0) | 2022.01.19 |
---|---|
[블로그복습]허블의 은하 분류 (0) | 2022.01.19 |
[블로그복습]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의 조건 (0) | 2022.01.18 |
[블로그복습]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 (0) | 2022.01.18 |
[블로그복습]주계열 단계 이후 별의 내부구조 (0) | 2022.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