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빅뱅 우주론에서 설명이 안되는 부분이 3가지가 있다. 자기 극홀이 측정이 안되며,지평선 문제, 우주의 평탄성 문제이다.
이런 한계를 급팽창 이론이 설명해서 보완된다.
자기 극홀은 우주에 자기극홀이 측정이 되어야 하나 현재 안되므로 가속 팽창을 할 경우 밀도가 낮아서 측정이 잘 안됨을 알 수 있따.
지평선의 문제는 우주의 끝에서 보내는 주파수와 특성들이 매우 동일 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한점에 있던 물질들이 급팽창하여 흩어지니 최초에 모아졌을 떄의 특성들이 각 우주 끝 지평선에서 동일하게 측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주가 평탄하게 보이는데 이는 엄청난 급팽창이 이루어져야만 평탄하게 보이게 되는 것이다.
또하나의 가정이 등장한다. 가속 팽창이다. 급팽창으로 인해서 중력을 작용하는 물질 중심에서 멀어지니 점차 팽창이 감속 할 것이라고 예측 했다 하지만 아니였다. 관측을 해보니 주파수가 긴 파장이 우주끝에서 왔다. 이를 통해 암흑에너지에 의한 척력으로 우주는 가속 팽창을 하고 있다라는 이론이 발생했따.

우주는 137억년 전에 탄생했습니다.
우주는 어떻게 태어나고, 성장한 것인가??
빅뱅우주론이 설명하는 우주의 형성 과정을 소개합니다^*^
우주의 탄생???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나?"
를 빅뱅우주론에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바로 빅뱅우주론의 허점입니다ㅠ.
아직까지 우주의 '탄생'자체에 대해서는 확실한 내용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여기에 대해 다양한 가설이 있는데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무'에서 태어났다는 무에서의 우주 탄생론입니다.
"무"에서 "유"가 생겨난다는 거 자체가 물리학에서 설명하기 힘들겠죠 ㅠㅠ
무에서 유를 창조???????ㅎ
어쨌든, 물질도 공간도 존재하지않는 "무"에서 아주작은 미시의 우주가 탄생하긴 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시기
[ 우주 탄생 10-36초 이전 ]
태어난 순간의 우주는 원자보다도 작습니다.
하지만 탄생직후 ! 10-36초 동안 ! 아주 짧은 이시간에
이 미시의 우주는 원자보다도 작았는데 1조의 1조 배의 1조 배의 1000만배 크기로 팽창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뭐래 ㅠ...ㅠ전혀 감이 안잡히져 ㅠ..ㅠ
아무튼 엄아머아머아어마어마어마어마하게 '천문학적으로' 팽창하였습니닷 ㅋㅋ
이 우주의 급격한 팽창을 '인플레이션'이라 합니닷!
미시의 우주에는 물질이나 빛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어떤 에너지가 가득 차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빅뱅 시기 (물질의 기본입자의 탄생)
[ 우주 탄생 10-36초 후 ]
인플레이션이 끝나면서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던 에너지가 다른 에너지로 변하게 됩니다.
마치 질주하던 차가 급브레이크를 걸면 뜨거워지는 것처럼, 급격히 팽창하던 우주가 팽창을 멈추면서 그 에너지가 다른 에너지로 변하게 되는데 그게 바로 물질과 빛의 에너지 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끝남과 동시에 우주에는 물질과 빛이 탄생하는 고온의 세계가 되는데, 이 작열 상태의 우주의 탄생이 '빅뱅'입니다 !!
이 때 탄생한 물질이 소립자입니다.
* 소립자 : 물질을 이루는 기본 입자(쿼크, 전자)
우주 탄생과 함께 원자를 구성의 작은 단위부터 차례대로 생성됩니다^^
양성자와 중성자의 탄생
[ 우주 탄생 10-4초 후 ]
온도가 1조℃로 내려가자 소립자끼리 결합해 양성자와 중성자가 탄생합니다.
* 양성자 : 업쿼크+업쿼크+다운쿼크
* 중성자 : 업쿼크+다운쿼크+다운쿼크
수소의 원자핵은 양성자 하나 뿐이므로 이때 수소라는 원소(H)가 처음 탄생합니다!
핵융합반응 시기
[ 우주 탄생 3분 후 ]
온도가 10억℃로 내려가자 양성자, 중성자끼리 융합하는 "핵융합반응"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수소(원소기호1번)에 더해서 헬륨(원소기호2번), 리튬(원소기호3번)이 만들어집니다!
원자의 탄생
[ 우주 탄생 38만년 후 ]
온도가 약 3000℃로 내려가서 날아다니는 속도가 느려진 전자나 원자핵이 인력에 의해 뭉쳐집니다.
바로 '원자'의 탄생입니다.
원자가 탄생하기 전에는 빛이 직진할 수 없었습니다. 공간을 자유로이 날아다니는 전자와 빛이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원자가 탄생하면서 전자가 원자핵에 속박되었기 때문에 빛이 자유로이 직진할 수 있게됩니다.
이 때 직진할수 있게된 빛을 "우주배경복사"라 하죠 !!
초기에는 쿼크와 전자로 구성되고 2초 상에서 양성자 중성자가 나오지만 전자가 존재 하며 빛이 통과하기에는 불투명도가 심함. 3분에는 전자와 중수소가 합쳐지면서 원자핵이 탄생하고 핵융합반응 시작 점차적으로 전자가 양성자에 합쳐지면서 투명도 증가
전자,쿼크 - 양성자,중성자 - 핵융합 - 원자형성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별의 탄생
[ 우주 탄생 3억년 후 ]
원자 탄생 후 아주 오랜시간동안 특별히 큰 변화가 없다가 드디어 3억년 후 첫번째 별(항성)이 탄생하게 됩니다 !
우주에 드디어 빛나는 존재가 생성된 것입니다. 그래서 우주 탄생 후부터 3억년 전까지, 즉 별이 없던 시기를 "우주의 암흑 시대"라 부릅니다.
우주의 밀도가 미세하게 불균일한데, 미세한 차이로 물질이 밀집된 곳에서 별이 탄생할 수 있게됩니다.
별이 탄생하고 죽는 과정에서 무거운 원소(수소, 헬륨, 리튬보다 원소 번호가 큰 원소들)가 생성되게 되죠 ~
그리고 별이 죽을 때 팡터트리는 폭발과정을 통해 다시 우주상에 원소들을 남기게됩니다.
그리고 또 다른 물질이 밀집된 곳에서는 또 다른 별이 탄생하고, 진화해서 죽어가고 있지요 !!
이렇게 별이 탄생과 진화, 그리고 죽음을 반복하면서 우주는 커져온거 같습니다.
'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복습]암흑 에너지 (0) | 2022.01.19 |
---|---|
[블로그복습]보통 물질과 암흑 물질 (0) | 2022.01.19 |
[블로그복습]대폭발 우주론 (0) | 2022.01.19 |
[블로그복습]허블 법칙과 우주 팽창 (0) | 2022.01.19 |
[블로그복습]특이 은하 (0) | 202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