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실 우리가 지구과학에서 앞에 단원의 많은 개념들을 배운 것은 지층의 연령을 측정해보고 지구에 대해 알아보는 과정에 필요한 개념을 배운 것이다.
지사학의 법칙은 총 5가지가 있다. 동일과정의 법칙, 지층 누중의 법칙, 관입의 법칙, 부정합 법칙 동물군 천이 법칙
동일과정의 법칙은 무엇일까 ?
지구에 일어나는 현상은 과거와 똑같이 동일하게 일어난다는 법칙이다. 일단 암석의 순환의 개념을 알아야한다. 용암에서 식게되면 화성암이 생긴다. 이 화성암은 두갈래로 나뉜다. 용암에 의해 또 작용을 받아 높은 온도와 압력을 받아서 변성암이 되거나, 풍화 침식을 받아 퇴적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변성암은 다시 높은 온도와 압력을 받아서 마그마가 될수도 있고, 풍화 침식을 받아서 퇴적물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반대로 퇴적물이 변성암이 되고 다시 마그마가 될 수도 있다. 이런 퇴적물이 고화작용 다짐과 교결 작용으로 퇴적암이 되고 다시 퇴적암이 열과 압력을 받아 변성암이 될 수도 있다. 여튼 마그마가 되기 전에는 변성암 단계로 가야한다.
지충누중의 법칙은 무엇일까?
일반적인 상식으로 어떤 퇴적층이 있으면 맨 밑이 처음으로 차곡차곡 쌓였을 것이다. 지충누중의 법칙은 그 이야기를 한것이다. 가장 아래에 있는 지층이 제일 오래 퇴적된 것이다. 그러나 지층이 변하거나 단층이 생기거나 습곡 생길때는 해당 법칙이 적용안되는 예외 경우이니 참고가 필요하다.
관입의 법칙 은 무엇일까>
이전단원에서 마그마 용암이 있다보면 관입이 되는 것을 확인해보았을 것이다. 그 관입의 법칙이다. 기존 퇴적물위에 관입이 된 것을 통해서 기존 퇴적물이 더 오래된 퇴적이고 그다음이 관입된 화성암이 생성된것을 알 수 있다.
부정합의 법칙은 무엇일까?
긴 시간 동안 융기되고 침식되고 그다음 침강하여 퇴적이 되는 상황을 유추할 수 있는 법칙이다. 이때는 층에 따라 화석의 급격한 변화를 볼 수 있다.
동물군 천이의 법칙은 무엇일까:?
거리가 먼 곳에서도 같은 종류의 화석이 나오는 거는 그 시대에 살고 있는 동식물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지층이 언제쯤 퇴적 되었는지 알 수 있다.
상대 연령과 지층대비는 어떻게 하는가?
위의 법칙으로 지층의 상대연령을 비교하여 어떤게 먼저 생기고 어떤게 나중에 생겼는지 알 수 있다. 크게 암상 대비와 화석 대비로 알 수 있따. 건층이 있으며 비교적 짧은 시간에 넓게 분포하는 층으로 석회암과 응회암으로 이루어진 층이다 이를 통해 상대 연령 지층 대비가 가능하다. 화석은 멀리 떨어진 지층에서도 동일한 화석 종류가 있는지 여부를 알고 확인할 수 있다.
'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복습]지질 시대의 환경 (0) | 2022.01.24 |
---|---|
[블로그복습]절대연령 (0) | 2022.01.24 |
[블로그복습]지질 구조의 생성 과정 (0) | 2022.01.21 |
[블로그복습]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 (0) | 2022.01.21 |
[블로그복습]여러 가지 운동 (0) | 2022.01.21 |